본문 바로가기

혈핵학

혈핵학-신생아 용혈성 질환(HDN)의 혈청학적 진단 접근법

신생아 용혈성 질환(Hemolytic Disease of the Newborn, HDN)은 모체의 항체가 태아 적혈구 항원을 공격해 용혈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주로 Rh(D), ABO, Kell 등의 혈액형 불일치로 발생하며, 조기 진단이 신생아의 합병증(빈혈, 고빌리루빈혈증) 예방에 필수적입니다.

1. 산모 검사: 산전 선별 및 위험도 평가

1) 초기 산전 검사

  • ABO/Rh(D) 혈액형 검사: 모든 임산부에게 시행.
  • 불규칙 항체 검사(Indirect Coombs Test): 항-D, 항-Kell, 항-c 등 확인.
  • 항체 역가 측정: Rh(D) 음성 산모에서 항-D 역가 ≥1:16 시 고위험.

2) 태아 혈액형 예측

  • 비교유전자(cffDNA) 검사: 모체 혈장 내 태아 DNA 분석으로 태아 Rh(D)/Kell 상태 확인.
  • 태아 아버지 혈액형: 부적합 가능성 평가(단, 친자확인 필수).
검사 항목목적임상적 의의
모체 ABO/Rh(D) 기본 혈액형 확인 Rh 음성 산모에서 HDN 위험 감지
불규칙 항체 검사 비예기항체(anti-D, anti-Kell) 탐색 고위험군 선별
cffDNA 태아 Rh(D) 상태 비침습적 진단 침습적 검사(양수천자) 감소

2. 태아 모니터링: 중증도 평가

1) 중대뇌동맥 최고속도(MCA-PSV) 측정

  • 초음파 도플러: 태아 빈혈 평가(빈혈 시 MCA-PSV ≥1.5 MoM).
  • 적용 시기: 항체 역가 상승 또는 이전 임신에서 HDN 병력 있을 때 주 1회 측정.

2) 침습적 검사

  • 양수천자: 빌리루빈 농도(ΔOD450) 측정으로 용혈 정도 평가.
  • 제대천자: 태아 혈액 채취해 혈색소, 혈액형, 직접 Coombs 검사 시행.

3. 신생아 진단: 출생 후 검사 프로토콜

1) 기본 검사

  • 직접 Coombs 검사(DAT): 태아 적혈구에 부착된 항체 확인.
    • Rh HDN: DAT 양성률 95% 이상.
    • ABO HDN: DAT 약한 양성 또는 음성 가능(20~40%).
     
  • 말초혈액 검사:
    • 혈색소: <14 g/dL(중증 빈혈).
    • 망상적혈구: >10% (과증식 반응).
    • 말초혈액 도말: 구형적혈구(spherocytes), 핵있는 적혈구(nRBC) 관찰.
신생아 용혈성 질환(HDN)의 혈청학적 진단 접근법

2) 혈청학적 검사

  • 모체-태아 항체 확인:
    • 항체 용출 검사(Elution): 태아 적혈구에서 항체 특이성 확인(예: anti-D, anti-Kell).
    • 산모 혈청 검사: 간접 Coombs 검사로 항체 역가 재측정.

3) 빌리루빈 동적 모니터링

  • 총 빌리루빈/직접 빌리루빈: 신생아 황달 평가.
  • 빌리루빈 상승 속도: 시간당 >0.3 mg/dL 시 공격적 광선요법 필요.

4. 특수 혈액형 불일치 사례 대응

1) ABO 불일치 HDN

  • 진단 특징:
    • DAT 음성 또는 약한 양성.
    • 구형적혈구 증가, 혈색소 감소.
  • 확진: 모체 혈청과 태아 적혈구의 ABO 부적합 확인.

2) 소수 혈액형(Kell, Duffy, MNS) 관련 HDN

  • 진단 난이도: 희귀 항체(예: anti-M, anti-Jka)로 표준 검사에서 누락 가능.
  • 대응:
    • 확장 혈액형 패널: Kell, Duffy, Kidd, MNS 항원 포함 검사.
    • 형광면역법(FACS): 저역가 항체 검출.

5. 감별 진단 및 주의사항

1) 감별 대상

  • 유전적 구상적혈구증: DAT 음성, 가족력 있음.
  • G6PD 결핍증: 산화제 노출력, 혈색소뇨 동반.
  • 패혈증: CRP 상승, 혈액 배양 양성.

2) 위음성/위양성 가능성

  • 위음성: 태아 수혈 후 DAT 음성될 수 있음.
  • 위양성: 산모의 자가항체(예: 항-I) 간섭.

6. 최신 진단 

  • 비침습적 태아 유전체 분석(NIPT): cffDNA로 태아 혈액형 예측 정확도 99%.
  • 마이크로어레이 기술: 동시 다중 항체(anti-C, anti-E 등) 스크리닝.
  • 인공지능 예측 모델: MCA-PSV, 항체 역가, 산모 연령 등을 종합한 HDN 위험도 계산.

 

HDN의 혈청학적 진단은 산모-태아 혈액형 불일치 평가, 항체 역가 모니터링, 신생아 혈액학적 검사를 종합적으로 수행해야 합니다. 특히 소수 혈액형 관련 HDN을 놓치지 않으려면 확장된 항원 패널 검사가 필수적입니다. 비침습적 기술과 유전체학의 발전은 향후 HDN 관리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혁신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