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혈핵학

혈핵학-혈청 철분 vs 페리틴 vs TIBC의 임상적 해석

혈청 철분, 페리틴, TIBC의 임상적 해석에 대한 글을 오늘 써보겠습니다. 각 검사와 역할과 임상적 적용을 통한 주요한 질환적 해석과 분포도의 그래프와 그외 여러가지 정보가 되는 글을 쓰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최근들어 연구들이 아직 알려지지 않아서 생소할수도 있을텐데, 오늘 글을 통해서 이해해 보시기 바랍니다.

 

혈액 내 철 대사 평가는 철결핍빈혈, 염증성 빈혈, 철과적재 등을 감별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혈청 철분, 페리틴, TIBC(Total Iron-Binding Capacity)는 각각 다른 생리학적 의미를 가지며, 이를 종합적으로 해석해야 정확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1. 각 검사의 역할 및 생리학적 의미

검사 항목측정 대상임상적 의의
혈청 철분 혈액 내 순환 철(transferrin 결합) 즉시 활용 가능한 철 공급량 반영
페리틴 체내 철 저장량 철 저장고 상태 지표 (1μg/L ≈ 8mg 저장철)
TIBC 혈액 내 총 철 결합 능력 Transferrin 양 간접 측정 (철 수송 능력)
Transferrin 포화도 (혈청 철분 / TIBC) × 100 철 활용 효율 평가 (정상 20~50%)

2. 주요 질환별 검사 결과 비교

질환혈청 철분페리틴TIBCTransferrin 포화도
철결핍빈혈 ↓ (<16%)
염증성 빈혈 정상/↑ ↓/정상
철과적재(혈색소증) ↑↑ ↑ (>45%)
만성질환 정상/↑
용혈성 빈혈 ↑/정상 ↓/정상

3. 임상적 적용: 주요 질환별 해석

1) 철결핍빈혈

  • 기전: 철 섭취 부족/흡수 장애/출혈로 인한 저장 철 고갈.
  • 검사 소견:
    • 페리틴 <30 μg/L (염증 없을 때) → 철저장고 고갈 확진.
    • TIBC ↑ (철 흡수 ↑를 위한 transferrin 증가).
    • Transferrin 포화도 <16%.
  • 주의: 염증 동반 시 페리틴이 위음성(정상/↑)될 수 있음 → CRP 동시 측정 필요.

2) 염증성 빈혈(Anemia of Chronic Disease)

  • 기전: 사이토카인(IL-6) 증가 → Hepcidin ↑ → 철 재이용 장애.
  • 검사 소견:
    • 페리틴 정상/↑ (급성기 반응물질로 증가).
    • TIBC ↓ (염증으로 transferrin 합성 ↓).
    • Transferrin 포화도 ↓ (철 이용 ↓).
  • 감별: 페리틴 >100 μg/L + CRP ↑ 시 철결핍 가능성 낮음.

3) 철과적재(유전성혈색소증 등)

  • 기전: HFE 유전자 변이로 철 과흡수.
  • 검사 소견:
    • 페리틴 ↑↑ (남성 >300 μg/L, 여성 >200 μg/L).
    • Transferrin 포화도 >45% (초기 진단 기준).
    • TIBC ↓ (철 과적재로 transferrin 합성 ↓).
  • 확진: 유전자 검사(HFE C282Y/H63D 변이), 간 생검.

4) 용혈성 빈혈

  • 기전: 적혈구 파괴로 철 재이용 증가.
  • 검사 소견:
    • 페리틴 ↑ (철 재이용으로 저장 철 ↑).
    • 혈청 철분 정상/↑.
    • TIBC 정상/↓ (철 과적재 경향).

4. 임상적 주의사항 및 한계

1) 페리틴의 양면성

  • 저장 철 지표이자 급성기 반응물질:
    • 염증/감염/암 시 ↑ → 철결핍 있어도 정상 범위 보일 수 있음.
    • 수정 기준: 염증 동반 철결핍 의심 시, 페리틴 <100 μg/L 진단.

2) TIBC 해석

  • 낮은 TIBC: 철과적재, 염증, 간경변.
  • 높은 TIBC: 철결핍, 임신 후기.

3) Transferrin 포화도의 함정

  • 위양성: 철분 보충제 복용 직후 일시적 ↑.
  • 위음성: 만성질환에서 철 이용 장애 시 ↓.
혈청 철분 vs 페리틴 vs TIBC의 임상적 해석

5. 최신 지견: 생체표지자 조합의 중요성

  • Hepcidin 측정: 철결핍 vs 염증성 빈혈 감별에 유용(연구 단계).
  • sTfR(용해성 transferrin 수용체):
    • 철결핍 시 ↑ (적혈구 생산 ↑ 반영).
    • 염증성 빈혈에선 정상.
  • sTfR/페리틴 비율: 철결핍 진단 민감도 94%, 특이도 98% (염증 동반 시 유용).

결론

혈청 철분, 페리틴, TIBC는 상호보완적으로 해석해야 하는 지표입니다.

  • 철결핍빈혈: 페리틴 ↓ + TIBC ↑ + Transferrin 포화도 ↓.
  • 염증성 빈혈: 페리틴 정상/↑ + TIBC ↓.
  • 철과적재: 페리틴 ↑ + Transferrin 포화도 ↑.

CRP, sTfR 등 추가 지표와 결합해 정확한 감별이 필요하며, 특히 만성질환 환자에서 철결핍을 배제할 때는 페리틴 임계값 조정이 필수적입닏필수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