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혈핵학

(17)
혈핵학-Clonal Hematopoiesis의 노화 관련 위험도 평가 오늘은 노화관련하여 Clonal Hematopoiesis(CH)에서 돌연변이가 증식하여 혈액암의 변화와 위험도에 관련하여 알아보고 위험에 대한 평가를 어떻게 보고 임상적으로 연구를 위하여 글을 써보았습니다. 치료적으로 개입을 위하여 함께 공부하기 바라며, 다음을 글들에 대해 관심을 많이 주시기 바랍니다. 1. Clonal Hematopoiesis(CH)의 정의와 발생 메커니즘**Clonal Hematopoiesis(CH)**는 조혈모세포에서 발생한 체세포 돌연변이가 클론적으로 증식하는 현상입니다. 이는 노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관찰되며, **CHIP(Clonal Hematopoiesis of Indeterminate Potential)**와 **ARCH(Age-Related Clonal Hematopoi..
혈핵학-비예기항체(비-ABO/Rh) 선별검사 한계와 DHTR 위험 비예기항체 선별검사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임상적으로 중요한 항체로 이므로 위험성과 한계에 대해 알아보고, DHTR의 위험화 완화전략에 대해 정보를 정리해보았습니다. 1. 비예기항체의 임상적 중요성비예기항체(non-ABO/Rh antibodies)는 ABO 및 Rh 혈액형 시스템 외의 항원(예: Kell, Duffy, Kidd, MNS)에 대한 항체입니다. 이러한 항체는 수혈 후 **지연성 용혈성 수혈반응(DHTR)**을 유발할 수 있으며, 특히 반복 수혈이 필요한 환자(겸상적혈구빈혈, 재생불량성빈혈 등)에서 위험성이 높습니다. DHTR은 수혈 후 24시간~28일 이내에 발생하며, 빈혈 악화, 황달, 신부전, 사망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2. 비예기항체 선별검사의 한계▶ 표준 검사법의 민감도 및 특..
혈핵학-Kidd 항체(Jkᵃ/Jkᵇ)에 의한 지연성 용혈성 수혈반응(DHTR) 임상 사례 Kidd 항체(Jkᵃ/Jkᵇ)에 의한 지연성 용혈성 수혈반응(DHTR) 에 대한 글을 써보겠습니다. Kidd 항체와 DHTR의 병태생리와 임상적 관리 및 사례 그외 여러가지 정보가 되는 글을 쓰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임상사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서 , 오늘 글을 통해서 이해해 보시기 바랍니다1. Kidd 항체와 DHTR의 임상적 중요성 Kidd 혈액형 항원(Jkᵃ, Jkᵇ)은 수혈의학에서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한 항원군입니다. Kidd 항체(anti-Jkᵃ, anti-Jkᵇ)는 주로 IgG1, IgG3 아형으로, 보체를 활성화하며 **지연성 용혈성 수혈반응(Delayed Hemolytic Transfusion Reaction, DHTR)**의 대표적 원인 중 하나입니다. DHTR은 수혈 후 ..
혈핵학-혈청 철분 vs 페리틴 vs TIBC의 임상적 해석 혈청 철분, 페리틴, TIBC의 임상적 해석에 대한 글을 오늘 써보겠습니다. 각 검사와 역할과 임상적 적용을 통한 주요한 질환적 해석과 분포도의 그래프와 그외 여러가지 정보가 되는 글을 쓰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최근들어 연구들이 아직 알려지지 않아서 생소할수도 있을텐데, 오늘 글을 통해서 이해해 보시기 바랍니다. 혈액 내 철 대사 평가는 철결핍빈혈, 염증성 빈혈, 철과적재 등을 감별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혈청 철분, 페리틴, TIBC(Total Iron-Binding Capacity)는 각각 다른 생리학적 의미를 가지며, 이를 종합적으로 해석해야 정확한 진단이 가능합니다.1. 각 검사의 역할 및 생리학적 의미검사 항목측정 대상임상적 의의혈청 철분혈액 내 순환 철(transferrin 결합)즉시 활용 ..
혈핵학-비타민 K 길항제(NOAC)와 와파린의 약동학적 비교 분석 비타민 K 대한 글을 오늘 써보겠습니다. 비타민 K 길항제(NOAC)와 와파린의 약동학적 작용기전과 대사과정, 생채이용률 그외 여러가지 정보가 되는 글을 쓰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최근들어 비타민K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서 , 오늘 글을 통해서 이해해 보시기 바랍니다. 비타민 K 길항제(와파린)와 신경구경구항응고제(NOAC)는 혈전증 치료에 널리 사용되지만, 약동학적 특성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이 글에서는 두 약물군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ADME) 및 임상적 함의를 체계적으로 비교합니다. 1. 작용 기전 및 표적특성와파린 (비타민 K 길항제)NOAC (다비가트란, 리바록사반 등)표적비타민 K 에폭사이드 환원효소직접 트롬빈(다비가트란) 또는 Factor Xa(리바록사반)효과 발현 시..
혈핵학-만성골수성백혈병(CML)에서 TKI 저항성 돌파 기전 만성골수성백혈병(CML)은 BCR-ABL1 유전자 변이로 인한 혈액암으로, 티로신키나아제 억제제(TKI)가 표준 치료입니다. 그러나 10~30% 환자에서 TKI 저항성이 발생하며, 이는 질환 재발 및 예후 악화로 이어집니다. 본 글에서는 TKI 저항성 메커니즘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최신 전략을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1. TKI 저항성의 주요 메니즘▶ BCR-ABL1 의존적 메커니즘유형설명빈도키나아제 도메인 변이TKI 결합 부위 변형(예: T315I, E255K)50~70%BCR-ABL1 증폭유전자 복제수 증가로 인한 과발현10~15%단백질 구조 변화ABL1 SH2/SH3 도메인 변이로 약물 친화도 감소5~10%T315I 변이:특징: 3세대 TKI(포나티닙) 제외한 모든 TKI에 내성.진단: Sanger ..
혈핵학-신생아 용혈성 질환(HDN)의 혈청학적 진단 접근법 신생아 용혈성 질환(Hemolytic Disease of the Newborn, HDN)은 모체의 항체가 태아 적혈구 항원을 공격해 용혈을 유발하는 질환입니다. 주로 Rh(D), ABO, Kell 등의 혈액형 불일치로 발생하며, 조기 진단이 신생아의 합병증(빈혈, 고빌리루빈혈증) 예방에 필수적입니다.1. 산모 검사: 산전 선별 및 위험도 평가1) 초기 산전 검사ABO/Rh(D) 혈액형 검사: 모든 임산부에게 시행.불규칙 항체 검사(Indirect Coombs Test): 항-D, 항-Kell, 항-c 등 확인.항체 역가 측정: Rh(D) 음성 산모에서 항-D 역가 ≥1:16 시 고위험.2) 태아 혈액형 예측비교유전자(cffDNA) 검사: 모체 혈장 내 태아 DNA 분석으로 태아 Rh(D)/Kell 상태 ..
혈핵학-재생불량성 빈혈(AA) vs 골수이형성증후군(MDS) 감별 포인트 1. 정의 및 병태생리학적 차이구분재생불량성 빈혈(AA)골수이형성증후군(MDS)기전면역매개 조혈모세포 파괴조혈모세포의 클론성 증식 및 이형성병인자가면역, 독소, 방사선, 바이러스 감염유전자 변이(예: SF3B1, TP53), 화학요법 후유증백혈병 전환없음30~40%에서 급성골수성백혈병(AML)으로 진행2. 혈액 및 골수 소견 비교▶ 말초혈액 검사항목AAMDS혈구감소범혈구감소증(적혈구, 백혈구, 혈소판)1~3계열 감소(주로 적혈구↑)망상적혈구감소(정상 또는 약간 감소비정형 세포없음과분엽 호중구, 소구성 적혈구 등 관찰▶ 골수 검사항목AAMDS세포충실도심한 저세포성(지방 조직 >70%)정상 또는 증가(과세포성)이형성없음(단, 적혈구계 이형성 가능)명확한 이형성(≥10% 계열에서)섬유화없음15~20%에서 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