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혈핵학

(18)
혈핵학-탈리세미아 진단을 위한 헤모글로빈 전기영동법 해석 가이드 1. 헤모글로빈 전기영동법의 원리와 임상적 의의헤모글로빈 전기영동법(Hemoglobin Electrophoresis)은 혈액 내 다양한 헤모글로빈(Hb) 분획을 전기적 성질의 차이를 이용해 분리하는 검사입니다. 이 방법은 각 헤모글로빈 분자의 전하와 크기 차이에 따라 이동 속도가 달라지는 원리를 활용합니다. 대표적으로 HbA(정상 성인 헤모글로빈), HbA2, HbF(태아형 헤모글로빈), 그리고 비정상 헤모글로빈(HbS, HbC, HbE 등)을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전기영동은 알칼리성(pH 8.4) 또는 산성(pH 6.0) 환경에서 시행되며, 최근에는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모세관전기영동(Capillary Electrophoresis) 등 자동화된 고정밀 분석법이 임상 현장에서 널리 활용되고..
혈핵학-저색소성 소구성 빈혈의 원인: 철결핍 vs 탈중심철빈혈 1. 저색소성 소구성 빈혈의 기본 메커니즘 저색소성 소구성 빈혈은 적혈구가 크기가 작고(MCV 이러한 변화는 철분 이용 장애로 인해 헤모글로빈 합성이 저하될 때 발생하며,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철결핍성 빈혈(Iron Deficiency Anemia, IDA): 체내 철 저장량 부족탈중심철빈혈(Anemia of Chronic Disease, ACD): 만성 염증으로 인한 철 재이용 장애기타: 탈중심철빈혈(Thalassemia), 선천성 철구형성빈혈(Sideroblastic Anemia)2. 철결핍성 빈혈(IDA) vs 탈중심철빈혈(ACD) 비교구분 철결핍성 빈혈 (IDA) 탈중심철빈혈 (ACD)주요 원인 출혈, 철 섭취 부족, 흡수 장애 만성염증(류마티스관절염, 암 등), 감염철 대사 체내 철 ..